본문 바로가기
  • 읽고보고쓰고

북요약6

[북리뷰] 오리엔탈리즘의 역사 (살림지식총서 015) 오리엔탈리즘이 서구사회에서 담론으로 거론된 것은, 1978년에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책 출판 이후부터다.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을 “동양을 지배하고 제국주의적 권위를 갖기 위한” 서양의 지배담론으로 규정하면서, 학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었다. 그의 주장을 세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이 동양을 지속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동양을 공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인도의 총독을 지낸 커전은 이를 '지적 사치'가 아닌, 영원한 지배를 위한 '제국의 의무'라고 표현했다고 한다. 둘째, 동양의 타자 이미지를 설정함으로써, 서양의 자아 이미지를 정립하는 데 도움을 얻었다는 것이다. 서양이 자신의 부정적인 내면을 투사시켜 만들어낸 대조적 동양의 이미지는, 변화가 없고 정체적이고 획일적이며, 자기 스.. 2022. 11. 26.
[북리뷰] 연극과 영화를 통해 본 북한 사회 (살림지식총서 408) 북한에서 예술이란 사람들을 사상 정서적으로 교양하는 사회적 이데올로기다. 북한에서는 사실상 비극 형식의 연극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비극이 창조될 사회 제도의 모순, 비극적 현실이 없다고 여기기 때문이다(정말 다들 그렇게 동의할까?). 정극만이 존재할 뿐이며, 낡은 연극이 아닌 혁명연극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북한 극단과 연출가, 배우 등은 자유로운 상상력에 의해 연극을 창작하고 공연할 수 없으며 국가의 이념 통제를 수락할 때에만 허용된다. 피바다식 혁명 가극 북한의 5대 혁명가극은 「피바다(1971)」와 「당의 참된 딸(1971)」 「밀림아 이야기 하라(1971)」 「꽃 파는 처녀(1972)」 「금강산의 노래(1973)」이다. 설한풍 스산한 원한의 피바다야 참혹한 주검이 묻노니 얼마냐 혁명에 피 흘린 .. 2022. 11. 19.
[북리뷰] 관상, 인간 이해의 첫걸음 (살림지식총서 483) 얼굴은 마음의 거울이라 했던가? 얼굴 한 번 보고 미래를 알아 차리는 것은 판타지다. 과거 우생학인 줄도 모르고 혈핵형으로 사람의 성격을 규정짓던 때도 있었다. 요사이는 MBTI가 그 역할을 대신 하는 것 같다. 그때는 혈핵형이 과학이었고, 요즘은 MBTI가 과학이라서 그런가 보다. 훨씬 예전에는 관상이 과학이였던 때가 있었다. (엄밀히 말하자면 모두 과학주의 아닐까) 관상이 MBTI보다 훨씬 복잡한 조합의 결과를 나타내니 만큼, 인생이 16가지로 결정지어지지 않는다고 여길 것이라면 차라리 더 신빙성은 있어 보이기도 하다. 얼굴이 왜 마음의 거울인지, 다음의 내용을 보자. 올바른 마음을 지녀야 밝은 상이 만들어지고, 밝은 마음을 유지해야 긍정적인 상이 만들어진다. 그렇게 밝고 긍정적인 상은 사람을 끌어들.. 2022. 11. 17.
[북리뷰] 비지니스 교양 선험지식을 쌓아주는 101가지 키워드를 소개한다. 바쁜 일상을 살아는 직장인들에게 세상에 선보인 많은 학자와 연구자의 이론을 재미있는 일화와 쉬운 해설을 곁들여 친근감있게 익힐수 있도록 하였다. 읽으면서 기억해 두기 쉽도록 요약형식으로 정리해 본다. 미켈란젤로 동기 : 칭찬, 이익, 출세 등과 같은 드러란 보상이 아니라 성취감 같은 순수한 내면의 에너지를 끌어올릴 수 있는 동기부여를 가리키는 개념. 스몰-월드 현상 : 지구상의 70억 인구가 여섯 단계를 건너면 모두 아는 사이라는 것. (1967, 하버드 사회심리학 교수, 스탠리 밀그램) 과시적 소비, 과시적 유한 (경제학자 톨스타인 베블렌) 엘리베이터 테스트 : 짧은 시간안에 핵심 사항을 전달. 100번째 원숭이 현상 : 특정 행동이 일정 개체 이상에 .. 2009. 6. 30.
[북리뷰] 대중문화의 겉과 속2 머리말: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하여 일상에 매몰돼 살다보면 사회의 구조적인 변화를 감지하기 어렵다. 그래서 구조적인 변화로 인해 생겨나는 문제들에 대해 미시적인 대응을 하는 수가 많다. 예컨대, 이혼율 상승이나 출산율 저하의 가장 큰 원인은 경제 구조의 변화와 그에 따른 경제 생활의 변화임에도 불구하고 '요즘 젊은 사람들은 어떻다'는 식으로 사람 탓을 하는 게 그런 경우일 것이다.(6)그런 점에서 브라질의 교육학자 파울로 프레이리가 주장하는 '학식 있는 무식꾼'이라는 말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사람은 "아주 협소한 자기 세계에만 관심을 갖고 다른 지식에는 무관심하기 때문에, 많은 정보들을 연관지어 세계를 비판적으로 읽지 못한다"는 것이다.(12) 제1장 대중문화 이론 ▨ 피에르 부르디외: 미학.. 2007. 9. 20.
[북리뷰] 대중문화의 겉과 속 1. 대중문화의 시대 60년대에서 80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대중문화는 대체적으로 국민의 '정치로부터의 도피'를 부추기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40) 2. 청소년과 대중문화 부모들은 자주 집을 비워 상품 정보도 아이들이 더 밝으며, 아이들의 직접 구매도 늘어나고 있다. ... 틴에이저(teenager)라는 말도 소비 사회가 본격적으로 정착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지 말이다.(46) 미국의 학자 다니엘 벨은 60년대의 미국에서 연령구조의 변화로 인한 젊은 층의 증가는 그들 사이의 경쟁을 치열하게 만들었으며, 그 결과 기존 사회 체제에 저항하는 운동이 싹트게 되었다고 말한다.(54) 캐나다의 학자 마샬 맥루한은 아프리카에 처음 영화가 소개되었을 때에 아프리카 사람들이 영화를.. 2007. 9.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