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2 [북리뷰] 대중문화의 겉과 속2 머리말: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하여 일상에 매몰돼 살다보면 사회의 구조적인 변화를 감지하기 어렵다. 그래서 구조적인 변화로 인해 생겨나는 문제들에 대해 미시적인 대응을 하는 수가 많다. 예컨대, 이혼율 상승이나 출산율 저하의 가장 큰 원인은 경제 구조의 변화와 그에 따른 경제 생활의 변화임에도 불구하고 '요즘 젊은 사람들은 어떻다'는 식으로 사람 탓을 하는 게 그런 경우일 것이다.(6)그런 점에서 브라질의 교육학자 파울로 프레이리가 주장하는 '학식 있는 무식꾼'이라는 말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사람은 "아주 협소한 자기 세계에만 관심을 갖고 다른 지식에는 무관심하기 때문에, 많은 정보들을 연관지어 세계를 비판적으로 읽지 못한다"는 것이다.(12) 제1장 대중문화 이론 ▨ 피에르 부르디외: 미학.. 2007. 9. 20. [북리뷰] 대중문화의 겉과 속 1. 대중문화의 시대 60년대에서 80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대중문화는 대체적으로 국민의 '정치로부터의 도피'를 부추기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40) 2. 청소년과 대중문화 부모들은 자주 집을 비워 상품 정보도 아이들이 더 밝으며, 아이들의 직접 구매도 늘어나고 있다. ... 틴에이저(teenager)라는 말도 소비 사회가 본격적으로 정착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지 말이다.(46) 미국의 학자 다니엘 벨은 60년대의 미국에서 연령구조의 변화로 인한 젊은 층의 증가는 그들 사이의 경쟁을 치열하게 만들었으며, 그 결과 기존 사회 체제에 저항하는 운동이 싹트게 되었다고 말한다.(54) 캐나다의 학자 마샬 맥루한은 아프리카에 처음 영화가 소개되었을 때에 아프리카 사람들이 영화를.. 2007. 9.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