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인3 [북리뷰] 두 얼굴을 가진 하나님 (살림지식총서004) 기독교의 하나님은 노예제도를 어떻게 보실까? 우문(愚問)처럼 들릴 수 있겠지만, 미국의 노예제도에 대한 찬·반론은 둘 다 성서로부터 근거를 얻어내고 있다. 이 책은 17세기 중반부터 발견되는 흑인노예의 시작과 19세기 후반 제도가 폐지될 때까지의 역사적 흐름을 명확하게 짚어주고 있다. 상세보기 두얼굴을 가진 하나님 성서로 보는 미국 노예제... | 저자 김형인 / 살림 인류 역사이래 노예제도가 부당하다는 의식은 고작 200년 전부터서야 생겨나기 시작했다. 그것도 노예들의 처우개선을 제기한 단체가 영국의 동물보호협회였다는 것은 노예의 인권이 얼마나 비참했는지를 보여준다. 영국에서 노예제 폐지 운동이 먼저 일게 된 것도 사실은 어떤 박애주의적인 동기라기 보다는 나폴레옹과의 전쟁으로 영국의 사탕수수 수출길이 .. 2009. 8. 12. [북리뷰] 마이너리티 역사 혹은 자유의 여신상(살림지식총서003) 이 책은 미국인이 표방하는 자유주의가 백인 미국인에 한 해서만 100% 누릴 수 있었던 자유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것에는 그들만이 누릴 수 있는 인종차별에 대한 자유도 포함된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을 찾은 여러 인종들은 차별과 소외로 어두운 시절을 보내야 했고, 사회의 메인 스트림에 들어가기 위해 많은 고통과 세월이 지내야했다. "자유의 여신상은 자유와 평등이라는 신화적 의미와 미국 사회의 억압과 불평등한 현실 사이의 양면성을 조여주는 동시에 어떤 신분이나 집단, 크게는 미국인 전체의 공통된 감정이나 주장을 전달하는 상징물로써 인용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여신상은 미국인들에게 무엇이 올바른가 하는 것을 보여주기보다는,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나타내주는 고통스런 역설의 상징이 되고 있는 것이.. 2009. 8. 11. [북리뷰] 미국의 정체성 (살림지식총서002) 미국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이었다. 미국이라는 복잡 미묘한 나라를 이해하는 데, 10개의 코드만으로는 부족하겠지만, 중요한 우선순위로 따졌을 때에는 꼭 알아두면 좋을 것들을 제공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가 나서서 친미적 글쓰기라고 고백하지만, 우리민족의 우수한 독특성을 타민족이 알아주기를 바라는 역지사지의 자세로 읽는다면, 타인의 견해에 귀기울이는 열린 자세도 비판적 지성을 갖고 살아가기를 원하는 우리 모든 블로거에게 좋은 자양분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본문에 나오는 10가지 코드는 다음과 같다. ① 개인주의 ② 자유방임주의 ③ 평등주의 ④ 법치주의 ⑤ 다문화주의 ⑥ 퓨리턴 정신⑦ 개척정신 ⑧ 실용주의 ⑨ 신기술 ⑩ 비즈니스 매너 이 책을 통해 새롭게 확장된 미국에 대한 배경지식과 나의 견해는 .. 2009. 8. 11. 이전 1 다음 반응형